기타/건강

마크로비오틱(macro+bio+tic) 밥상

김종화 2010. 2. 17. 01:57

자연을 통째로 먹는다

마크로비오틱(macro+bio+tic) 밥상

 

 

 

양배추 꼭지, 대파뿌리까지 식품을 다듬지 않고 섭취
"아토피·변비에 좋다" 입소문
주말만 꾸준히 먹어도 효과

2009111100192_0.jpg
"파뿌리까지 다 먹는 게 마크로비오틱이에요." 얼마 전 종영한 SBS TV 드라마 '스타일'에 요리사로 나왔던 류시원의 대사다.

존 레넌, 마돈나도 푹 빠졌다는 '마크로비오틱(Macrobiotic)'은 'macro(큰)'와 'bio(생명)', 'tic(방법·기술)'을 합성한 말. 껍질부터 뿌리까지 음식을 통째로 먹는 조리법으로, 일본의 장수건강법에 뿌리를 두고 있다. 발음도 그래서 일본식이다. 식품을 인위적으로 다듬지 않고 있는 그대로 섭취해야, 식품이 가진 고유의 에너지를 고스란히 섭취할 수 있다는 생각을 기본으로 한다. 아토피, 변비, 생리통, 피부트러블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입소문으로 전해지면서 최근 새로운 건강 트렌드로 떠올랐다.

'자연을 통째로 먹는 마크로비오틱 밥상'(비타북스)의 저자 이와사키 유카씨는 9일 전화통화에서 "어릴 때부터 아토피로 고생했는데, 마크로비오틱 밥상을 꾸준히 접한 덕에 많이 나았다. 이젠 약을 먹지 않고도 다스릴 수 있게 됐다"고 말한다.

아토피에 탁월하다? '마크로비오틱'

이와사키 유카씨는 스테로이드 연고 없인 하루도 가려움증을 견디지 못했던 극심한 아토피 환자였다. 약을 매일 먹어야 했고, 병원에 가서 주사를 맞아야만 가려움증이 가라앉을 때도 잦았다. 답답한 마음에 직접 치유법을 찾던 그는 미국 '쿠시 인터내셔널 인스티튜트'에서 공부를 하다 '마크로비오틱'이란 분야를 접하게 됐다고 한다. 그때부터 식단을 바꿨고, 3년 동안 '마크로비오틱' 밥상으로 세끼를 챙겨 먹었다. 유카씨는 "아토피가 완치된 건 아니지만, 이젠 약을 완전히 끊었는데도 견딜 수 있을 만큼 치유가 됐다"고 말한다.

인공조미료나 첨가물이 함유된 식품은 가장 피해야 하는 선택. 요구르트, 마요네즈, 케첩, 정제된 설탕이나 소금, 백미, 달걀 등은 피하는 게 좋다. 흰 쌀보단 현미밥, 고기나 달걀보단 수수나 두부, 흰 설탕보단 조청이나 메이플시럽, 맛소금보단 천일염을 택하는 게 좋다. '마크로비오틱'은 그러나 고기를 무조건 피하는 채식(菜食)이나 기름진 음식을 경계하는 다이어트 식단과는 차이가 있다. 유카씨는 "고기는 극 양성(陽性)인 식품이라 피하는 것뿐"이라며 "고기를 먹을 땐 칼륨이 풍부한 채소를 충분히 곁들이고, 튀김을 먹을 땐 레몬즙을 더해 음양을 맞추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2009111100192_1.jpg
식품 전체를 통째로 먹어야 온전한 에너지를 섭취할 수 있다고 믿는‘마크로비오틱’. 뿌리나 껍질도 버리지 않고 잘게 저며 요리에 넣어 먹는 것이 건강에 좋다고 주장한다./비타북스 제공 ◆둥근 채소를 껍질째 먹어라?…농약 걱정은 소금으로

브로콜리, 양배추, 양파, 콜리플라워, 단호박처럼 둥근 채소는 우리 몸에 가장 좋은 것 중 하나. 껍질째 먹으면 섬유질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어 더욱 좋다.

저자는 "흔히 잘라 버리는 양배추 꼭지, 대파 뿌리까지 활용해야 온전한 영양소와 에너지를 섭취할 수 있다"고 말한다. 양배추 꼭지는 가로로 잘게 다져 조리거나 끓여 먹고, 대파 뿌리와 꼭지 역시 잘 씻고 다져 국이나 볶음 요리에 넣어 먹으면 오히려 쓴맛이 살짝 우러나 풍미가 강해진다. 무나 연근은 껍질째 잘 씻어 강판에 갈거나 얇게 저며 먹는다.

이쯤 되면 '채소에 묻은 농약은 어떻게 해야 하나?'란 의문이 들 법도 하다. 유카씨는 "기왕이면 유기농 채소를 사용하는 게 좋지만, 소금과 천연 식소다만 잘 활용해도 농약을 깨끗이 제거할 수 있다"고 말한다.

오이, 무, 당근, 사과, 자두처럼 단단한 채소나 과일은 소금을 뿌려서 잘 비볐다가 흐르는 물에 씻는다. 브로콜리나 포도처럼 부드럽거나 모양이 복잡하고 껍질이 얇은 채소나 과일은 소금물에 15~20분간 담갔다가 씻으면 된다. 왁스가 묻은 과일이나 채소는 천연 식소다를 뿌려서 씻는다. 조미료는 쓰지 않는 게 원칙. 대신 다시마나 말린 표고버섯 우린 물을 사용한다. 다시마 맛국물과 표고버섯 맛국물을 7대 3 비율로 섞어 쓰는 게 기본. 고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표고버섯 맛국물 비율을 높게 한다. 국물요리를 할 땐 소금으로 간을 조절하고 마지막 향기를 살리기 위해 국간장으로 살짝 마무리하는 게 좋다. 조금 싱겁다 싶게 먹는 게 더 좋다고.

비만엔 팥차, 가려움증엔 사과무즙

직장인이라면 '마크로비오틱' 식단을 사실 매끼 실천하긴 쉽진 않다. 유카씨는 "아토피 등을 심하게 앓거나 몸이 아픈 사람이 아니라면, 주말에만 꾸준히 먹어줘도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말한다.

간편하게 '마크로비오틱' 효과를 느끼고 싶은 이에겐 차를 추천한다. 류머티즘 등을 앓는 사람이라면 조물조물 씻은 무말랭이를 물에 20분간 끓인 무말랭이 차를 추천한다. 3개월간 꾸준히 마시면 몸이 달라지는 걸 느낄 수 있다고.

비만으로 고생하거나 몸이 자주 붓는 이에겐 팥차를 권한다. 깨끗이 씻은 팥과 물을 1대 12 비율로 넣고 끓여 물이 반으로 될 때까지 끓여 마신다. 몸이 자주 가려운 아토피 환자에겐 사과무즙이 좋다. 강판에 간 무즙 1/4컵에 농축·환원하지 않은 사과주스 1/2컵을 섞어 마시면 몸의 열을 내려줘 가려움증이나 비염이 완화된다.

2009111100192_2.jpg
● 초간단 '마크로비오틱' 레시피

톳옥수수밥

1 현미 두 컵(360㏄)을 씻어 물 2.4~3컵(540~720㏄)·소금 약간과 함께 압력솥에 짓는다.

2 건조한 톳 2큰술(8g)을 체에 넣고 물에 씻어둔다.

3 생강(10g)을 잘게 채 썰고, 무설탕 콘옥수수(100g)는 물기를 뺀다. 파슬리(2g)는 잘게 다진다.

4 냄비에 생강과 톳을 넣고 물 1컵(200㏄)을 부어 끓인 후 간장을 넣어 물기가 없어질 때까지 조린다.

5 다 지은 현미밥에 조린 톳과 옥수수, 파슬리를 넣어 섞은 후 필요하면 소금으로 간한다.

2009111100192_3.jpg
아와사키 유카가 요리한 톳옥수수밥 채소찜

1 브로콜리 두 조각(30g), 단호박 반 개(80g), 양배추 반 장(40g), 양파 1/4개(50g), 마 80g, 연근 30g을 먹기 좋은 크기로 잘라 소금을 뿌려 물기가 생기게 한 후 김이 오른 찜통에 넣어 찐다.

2 된장 두 큰술, 발사믹식초 2/3큰술, 조청 1큰술을 넣고 된장 소스를 만든다.

3 간장 두 작은술, 블루베리잼 두 작은술, 현미식초 1작은술을 넣고 간장소스를 만든다.

4 찐 채소와 소스를 함께 즐긴다.

2009111100192_4.jpg
채소찜 통양파된장조림

1 양파 4개(600g)를 세로로 반을 가른다.

2 양파 윗부분에 별 모양으로 칼질하고 된장 1작은 술을 스며들게 바른다.

3 다시마를 얇게 채를 썰고 냄비에 깐다.

4 다시마 위 양파를 얹고 양파 높이 반 정도까지 다시마 우린 물 두 컵(400㏄)을 붓는다.

5 뚜껑을 덮고 약한 불로 조린다. 양파가 투명하게 부드러워지면 접시에 담는다.

2009111100192_5.jpg

통 양파 된장조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