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 속에 맺혀 있던 한명희 PD는
즉시 펜을 들고 가사를 써 내려갔습니다.
조국을 위해 산화한 젊은 넋을 기리는
"비목"의 가사는 이렇게 탄생되었답니다.
이 노래는 70년대 중반부터
"가고파", "그리운 금강산"과
더불어 한국인의 3대 애창곡으로
널리 불려지기 시작했습니다.
"초연(硝煙)이 쓸고 간 깊은 계곡 양지녘에
비바람 긴 세월로 이름 모를 비목이여---."
가곡 "비목" 의 고향인 강원도 화천군에는
전쟁과 분단의 흔적들이 아직도
이곳저곳에 서려 있습니다.
6.25 당시 화천댐을 놓고 벌인
치열한 공방전으로 붉게 물들었던 파로호는
지금 신록 속에 푸르기 그지 없고,
군사 정권 시절 댐 건설의 필요성을 놓고
논란이 일었던 평화의 댐은
민통선 바로 앞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댐 옆에는 가곡 "비목" 의 탄생을 기념하는
'비목공원'이 들어섰습니다.
평화의 댐
파로호는 호수 모양이
전설의 새 대붕(大鵬) 을 닮았다고 해서
원 이름은 대붕호(大鵬湖)였답니다.
그러던 것이
1951년 화천댐 공방전에서 국군이
중국군 3개사단을 물리치고 대승을 거두자
훗날 이곳을 방문했던 당시 이승만 대통령이
"적을 격파하고 포로를 많이 잡았다" 는 뜻으로
"파로호(破虜湖)" 라는 새 이름을 지었다고 합니다.
파로호는 1944년,
화천댐 건설로 생긴 인공호수로
산 속의 바다라고도 불립니다.
호수에는 쏘가리, 잉어 등
70여종의 민물고기가 서식하고 있습니다.
파로호
파로호 경치가
한눈에 들어오는 전망대는
화천읍에서 평화의 댐으로
가는 460번 지방도 오른쪽에 있습니다.
파로호 휴게소에 차를 대고
5분 정도 걸어올라가야 합니다.
비목공원은 1998년,
가곡 '비목' 을 기념해서 만들었습니다.
산비탈에 돌로 한반도 모양의 단을 쌓았고
곳곳에 돌무덤과 비목을 세웠습니다.
비목공원
주차장 입구에 "비목" 노래비가 서 있어
방문자들은 누구나 한번씩
그 앞에 서서 가사를 되새겨 본다고 합니다.
현재 비목공원에는 기념탑 외에
철조망을 두른 언덕 안에
녹슨 철모를 얹은 나무 십자가들
이 십여 개 서 있어 한국전쟁이라는
민족 비극의 아픔을 되새기게 해줍니다.
비목시비
화천군에서는 매년 6월 3일부터 6일까지
이곳 비목공원과 화천읍내 강변에 들어서있는
붕어섬 등에서 "비목 문화제"를 개최합니다.
진중가요, 시낭송 등으로 짜여진 추모제,
비목깎기 대회, 주먹밥 먹기대회, 병영체험,
군악퍼레이드 등이 나흘간 펼쳐진다고 합니다.
거기서 아래를 내려다보면
산자락이 마치 톱니바퀴처럼 맞물렸고
그 사이로 북한강이 흐르고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근래 호랑이
발자국이 발견됐다고 해서 주목을 끌었습니다.
조국을 위해 희생한 비목의 주인공과
많은 선열들의 숭고한 넋을 생각하며
"비목"의 가사를 다시 되새겨 봅니다.
가곡 '비목'은
적막에의 두려움과 전쟁의 비참함,
그리고 그 때문에 더욱 간절한 향수 등이
서정적으로 잘 표현되어 있는
노래입니다.
황병덕 노래
1.
초연이 쓸고 간 깊은 계곡 깊은 계곡 양지녘에
비바람 긴 세월로 이름 모를 이름 모를 비목이여
먼 고향 초동 친구 두고 온 하늘가
그리워 마디마디 이끼 되어 맺혔네.
2.
궁노루 산울림 달빛 타고 달빛 타고 흐르는 밤
홀로 선 적막감에 울어지친 울어지친 비목이여
그 옛날 천진스런 추억은 애달파
서러움 알알이 돌이 되어 쌓였네.
'가곡.동요.민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영남 노래 모음 (0) | 2010.02.25 |
---|---|
그리움 : 이은상 시, 홍난파 곡 (0) | 2010.02.25 |
가곡 바이올린 연주 (0) | 2010.02.25 |
향수 / 수원 시립합창단. (0) | 2010.02.25 |
언덕에서 (0) | 2010.02.25 |